
전 세계 어류 소비량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2011년에서 2016년 사이에 전 세계 소비량은 1억 5,400만 톤에서 1억 7,090만 톤으로 증가하였으며, 많은 지역의 바다에서 이미 고갈된 어획 자원이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량 증가의 대부분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인구가 엄청나게 증가한 결과이며 세계의 인구는 1960년 기준 약 30억 명에서 현재 77억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증가율은 둔화할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UN에 따르면, 현재 세계 인구는 2030년까지 86억 명, 2050년까지는 112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규모 양식업이 처한 어려운 환경에 대해 Dyneema®를 최적으로 만드는 몇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로 나일론보다 훨씬 강하고 가볍기 때문에 Dyneema®로 제작한 그물은 강력함과 내구성은 유지하면서도 동급의 나일론 무게 대비 약 3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고유한 중량 대비 강도 비율 덕분에 경쟁 제품에 비해 그물을 훨씬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취급이 훨씬 쉽고 안전합니다.
Dyneema®로 제작한 그물은 강하고 무는 행위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물개 또는 거북이와 같은 포식자가 케이지에 손상을 입히고 들어가는 것과 양식 중인 물고기가 입질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 유지 관리 또한 더 용이하며 특히 Dyneema® fiber의 경량 특성과 자연 부력이 요구되는 대형 케이지의 경우 작업이 더 쉬워집니다. 직경이 작다는 것은 표면적이 약 30% 더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덕분에 오염된 유기체가 그물에 달라붙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이 모든 특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운영 비용이 훨씬 낮아집니다.
Dyneema®로 제작한 그물은 나일론 그물보다 (무게당) 방오(미생물 축적 방지에 필요)를 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환경에 더 유익합니다. 또한 이러한 낮은 고형성으로 인해 케이지 내의 물흐름이 더 좋아져 산소 수치가 높아집니다. 이것은 물고기에게 더 건강한 환경을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Dyneema®로 생산량을 최적화하면서 환경을 보호하는 지속 가능한 어류 생산 기법에 도움이 됩니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양식업은 이미 생선을 식탁에 올리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훨씬 많은 양의 생선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생 자원에 대한 어획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FAO는 양식업이 2016년 기준 전 세계 어류 공급의 46.8%를 책임지고 있는데, 이는 2000년 기준 25.7%에서 증가한 것이라고 보고했습니다. 하지만 미래의 수요를 충족하고 현재의 모습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려면 양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양식업계의 주요 트렌드는 케이지 그물을 더 크게 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더 많은 양의 물고기를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장비 및 수리에 들어가는 고정 비용을 양식 어류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물을 더 크게 하면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나일론으로 제작한 그물은 훨씬 무겁고 다루기가 어려워 추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둘레가 최대 160m인 이러한 그물의 무게는 4톤이 넘을 수 있으며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더 많은 검사와 수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겪는 많은 양식업 관련 업체는 추가적인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지 크기를 늘리려고 합니다. 세계 최강의 섬유인 Dyneema®로 제작한 케이지 그물에 많은 업체들을 위한 해결책이 담겨 있습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식습관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유엔의 식량 농업기구(FAO)는 선진국에서 어류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1인당 연간 소비량이 2011년 18.5kg에서 2016년 20.3kg으로 증가한 데는 개발 도상국에서 발생한 소비량 증가의 영향이 크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영양이 풍부한 생선에서 공급되는 고품질 단백질이 식량 부족과 영양 실조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선은 점점 늘어가는 배고픈 사람들에게 건강한 음식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생선 공급에 새롭고 지속 가능한 기법이 필요합니다.